본문 바로가기

iOS (스파르타)/Swift 문법

기초 문법 - 연산자, 조건문과 반복문

연산자

1. 산술 연산자

  • 덧셈
    • +
    • +=
  • 뺄셈
    • -
    • -=
  • 곱셈
    • *
  • 나눗셈
    • /
  • 나머지
    • %

2. 비교 연산자 - 비교 연산자는 비교한 값을 true와 false로 반환

  • 같다 / 같지 않다
    • a == b
    • !=
  • 크다 / 작다
    • a > b (a가 b보다 크다)
    • a < b (a가 b보다 작다)
  • 크거나 같다 / 작거나 같다
    • a >= b (a가 b보다 크거나 같다)
    • a <= b (a가 b보다 작거나 같다)                (부등호 먼저 다음 등호)

3. 논리 연산자 - 논리 연산자는 비교한 값을 true와 false로 반환

  • 논리 부정 NOT
    • !a
      • 논리 부정 연산자는 true를 false로, false 를 true로 변환합니다.
  • 논리 곱 AND
    • a && b
      • 논리 곱 연산자는 두 값(a, b)이 모두 true일 때 true를 반환합니다.
      • 첫번째 값이 false라면 두 번째 값을 판단하지 않고 즉시 false를 반환합니다.
  • 논리 합 OR
    • a || b
      • 논리 합 연산자는 둘 중 하나가 true면 true를 반환합니다.
      • 첫번째 값이 true라면 두 번째 값을 판단하지 않고 true를 반환합니다.

4. 범위 연산자

  • (a…b)
    • a 이상 b 이하
  • (a..<b)
    • a이상 b 미만
    • b는 범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
  • a... ...a
    • 범위의 시작 혹은 끝만 지정하여 사용하는 범위 연산자입니다.
    • a는 범위에 포함됩니다.

5. 삼항 연산자

  • a ? b : c
    • question ? answer1 : answer2
    • question의 답이 true이면 answer1을, false면 answer2 값을 사용합니다.
    • if-else 문을 간략히 표현했다고 보면 됩니다

6. 주의할 점! - Swift는 띄어쓰기도 신경써야 하는 언어!

예를들어 a - b  a -b는 완전히 다른 의미입니다.

a - b는 a에서 b를 빼는 수식이고 a -b 는 a와 -b를 의미합니다.

그러니 띄어쓰기에 주의해주세요 : )

 

 

조건문

1. if 문 - 조건을 확인하는 문법으로 if 문에 작성한 조건이 true인 경우에만 구현부 코드를 실행

 

2. switch 문

  • switch 문은 가능한 여러 개의 일치하는 케이스와 값을 비교합니다. 그런 다음 일치하는 첫 번째 케이스를 기반으로 구현부 코드 블록을 실행합니다.
  • switch 문은 여러 잠재적 케이스에 대응하기 위해 if 문을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열거형(enum)과 함께 자주 사용됩니다.
  • 모든 케이스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 default 에 구현된 코드가 실행되며, default는 항상 마지막에 표시되어야 합니다.
  • 특정 케이스에 실행 구문이 없을 경우  break 키워드를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
  • 특정 케이스에 해당되어 실행 구문이 실행된 이후에 다음 케이스 블럭을 실행하려면 fallthrough 키워드를 사용합니다

 

반복문

1. for 문

For - in 반복문 - for문은 순회할 수 있는 타입(배열, 딕셔너리 등)을 순회하거나 특정 횟수만큼 로직을 반복할 때 주로 사용

 

2. while 문

  • while문은 특정 조건이 만족하는 동안 내부로직을 계속해서 실행하는 반복문입니다.
  • 종결 조건을 정해주지 않으면 무한루프가 생길 위험성이 있습니다.
  • while문은 반복문의 각 패스가 시작할 때 조건을 평가합니다.